본문 바로가기
경제아카데미/기록의 힘

모두들 국장을 떠났다는데..

by 세상읽는토끼 2025. 1. 3.
반응형

한국 주식이 힘든 시간을 지나왔다. 그도 그럴 것이 21년 제조업 고점을 찍은 뒤로 이렇다 할 회복이 없었으니 당연하다. 1920년대 대공황 하락 기간에 맞먹는 3년 반 정도의 시간… 보통 사람이라면 기다리기 힘든 시간이다. 특히 21년 고점에서 빠져나오지도 못했고, 주변 사람들이 미국 주식에서 돈 벌고 있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속이 쓰렸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때가 되었다. 다시 한국 주식을 매수할 때가. 이제 곧 한국이 망할 것처럼, 구조적인 문제라고 온갖 안 좋은 소식과 전망은 넘쳐나지만 시장에서 싸게 굴러다니는 주식들이 너무 많다.

지역 부동산 카카오톡 방에 들어가 있는데 얼마 전 이런 말을 보았다.

안전하게 미국 주식에 투자하세요. ”

안전하게? 세상에 안전한 투자 대상이 어디 있나? 안전자산이라고 알려진 금도, 채권도 고점에 물리면 위험자산이 되는 법이다. 대중이 안전하다고 여기고 매수하면서 행복감을 느끼는 건 언제나 고점에서 매수할 때이다.

절세계좌 ISA도 '국장 탈출'…편입 해외 ETF 평가액 작년 12배 급증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송은경 기자 = 지난해 국민 노후와 자산증식을 위한 '절세계좌'인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에서도 '국장 탈출' 움직임이 일...

www.yna.co.kr


어딜 가나 미국주식 이야기이다. 한국 주식시장은 빈집이다. 개인투자자가 미국으로 떠나서 개인 수급이 없다고들 하지만 그 수급은 결국 한국시장이 오르고 또 고점 가까이 가면 돌아올 수급이다. 특히나 그동안 미국 시장이 지지부진하다면 더더욱.

중국도 마찬가지다. 구조적인 문제라고, 일본의 과거를 떠올리며 중국의 잃어버린 10년, 20년이 될 것이라고들 말하지만 미래는 모른다. 현재 중국은 자체적으로 구조조정 중이고 부동산의 경우 신규 착공을 75%가량 줄였다. 그리고 부동산 거래량은 올라오고 있다. 과거의 일본과는 다른 행보이며, 오히려 서브프라임 이후 미국의 행보와 비슷하다. 거기다 그동안 크고 작은 금융사들의 부실을 처리하고 파묻어버리며 구조조정을 계속해오고 있다. 내수 부양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트럼프가 집권하기 시작하면 부양책들이 더 나올 수 있을 것이다. 트럼프 집권에 모두 쫄아있지만 사실 그래서 더 기회가 될 수 있다. 중국도, 유럽도 트럼프에 대비해서 경기부양에 나설 것이니 말이다. 오히려 관세의 영향으로 미국 내수가 타격을 받을지도 모를 일이다. 이전 트럼프 집권 때와는 상황이 다르다.

어제오늘, 한국 시장에서 관심 있게 보던 종목들을 1주씩 매수했다. 바닥 근처까지 왔는지 근래 반등이 세다. 한 종목은 며칠전에 3천 원짜리 1주 담았는데 벌써 20% 수익이다. ㅋㅋ 이제 하락하면 하락할수록 이 종목들을 적극적으로 주워 담을 것이다.

그리고 저번주 금요일 손절라인을 잡고 나스닥 인버스 ETF를 매수했다. 인버스, 거기다 나스닥이라니… 좀 무모하긴 한데, 가산금리도 오르고 있고 주도주들의 움직임이 지지부진하여 포지션을 한번 잡아봤다.

내년 이맘때쯤엔 계좌가 많이 불어있기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