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 가격이 올랐다, 파가 비싸서 무섭다" 등 모두 물가에 대한 이야기다.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물가 외에 투자할 때 필요한 물가 개념을 몇 가지 정리해본다.
소비자물가(Consumer Price Index, CPI)
소비자가 구매할 때의 물가로 주로 상품의 가격을 의미한다. 흔히 알고 있는 물가의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투자할 때에는 전년동월비인 YoY로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근원 개인소비지출(Core Privat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Core PCE)
개인소비지출(PCE)은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지출한 비용을 합친 것으로 CPI에 비해 서비스업의 비중이 더 크다. Core PCE는 이 중 변동폭이 큰 에너지나 식품 가격을 제외하고 계산한 수치를 말한다. 미국 연준이 좋아하는 지표로 알려져 있고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또한 YoY로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생산자물가(Producers Price Index, PPI)
제조업체가 판매하는 상품의 가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제조업체들의 이익과 어느 정도 동행한다고 할 수 있다. 몇 개월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CPI)에 영향을 주게 된다. 생산자물가 또한 전년동월비로 보는 것이 도움이 되며, 글로벌리 동조화되어 있는 경향이 있으므로 미국, 한국, 중국, 독일의 지표를 함께 보면 좋다.
기대인플레이션(Breakeven inflation rate, BEI)
일반적으로 향후 물가상승률이 어떻게 될지 경제주체의 주관적인 전망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 대상기간이나 경제주체에 따라 기대 인플레이션은 달라질 수 있다. 금융시장에서 지표로 사용되는 것은 BEI로, 미국 10년 물 국채금리에서 10년 물 물가연동 국채의 금리를 뺀 값으로 산출한다. 이는 미래 물가에 대한 채권 투자자들의 기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물가지표의 활용
▶ 물가 그대로를 보기보다 전년동월비(YoY)를 사용한 값의 경향성을 보는 것이 좋다.
☞ FRED 차트 전년동월비(YoY) 설정해서 보는 방법
▶ 물가가 전년동월비로 증가하고 있을 때는 대체로 경기민감주들의 성과가 좋다.
☞ 경기민감주(시클리컬) 뜻과 투자할 때 알아둘 점
☞ 원자재 상승 시 투자
▶ 물가가 상승하면 채권금리(대표적으로 미국 10년 물 국채)도 상승하게 된다.
'경제아카데미 >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일드채권(고수익채권, High Yield Bonds) 뜻과 주식과의 관계 (7) | 2021.06.14 |
---|---|
ESG 뜻과 국민연금이 보는 ESG 지표 13가지, 공시 확대 로드맵 (0) | 2021.06.08 |
투자할 때 알아둘 물가의 종류(CPI, PCE, PPI) (10) | 2021.06.04 |
리스크(Risk) 뜻과 액티브 투자자들의 4가지 유형의 리스크 관리 (0) | 2021.05.29 |
조지프 슘페터(Joseph Schumpeter)의 혁신 5가지 (0) | 2021.05.21 |
주식과 채권의 상관관계 (0) | 2021.05.19 |
요즘 미국 주식은 물가로 요동치는 것 같습니다. 이제 쉽게 상승하는 장이 아니기 때문에 경제지표들도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ㅠㅠ
답글
넵 여러모로 작년보다는 난이도 높은 시장인 것 같습니다. 서비스업이 회복되고 있는 만큼 하반기도 물가 압력이 있을 것 같네요. 즐거운 주말 되세요 ^^*
좋은 정보글 잘보고 갑니다!!
답글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아침 경제 뉴스에 항상 나오던데 분류해서 알려주셔서 잘보고 갑니나
답글
우리가 자본주의 세상에 살고 있으니 물가는 많은 것들을 우리한테 알려줄 겁니다. ^^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물가상승 공부 잘하고 갑니당~^^
답글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ㅎㅎ 알고 있는 내용들도 있고, 새로알게된 내용도 있네여~감사^^~
답글
헤헤 요새 하도 물가 얘기가 많아 아는 거 같은데 순간 헷갈리기도 해서 한번 정리해봤어요. ㅋ 안다고 생각했는데 글로 적으려니 순간 멍~ 해졌었네요 ㅋㅋ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