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93 아이리버 블루투스 이어폰(IHBT-T90)과 에어팟 프로 비교 사용 후기 Mp3 시대의 아성이 있어 아이리버라는 브랜드는 꽤나 친숙한 브랜드이다. 아이리버에서 나온 블루투스 무선 이어폰을 구매했는데 현재 에어팟 프로를 사용하고 있어 그와 비교해서 사용 후기를 남겨본다. 1. 음질 유튜브 영상을 볼 때나 노래를 들을 때 음질은 나쁘지 않다. 거슬리는 노이즈도 없다. 보통 유선 이어폰으로 들을 때나 에어팟으로 들을 때와 마찬가지로 비싼 헤드셋 수준에는 못 미치지만 휴대용 이어폰으로 나쁘지 않다. 통화할 때 감도도 나쁘지 않아 큰 불편함 없이 사용 가능하다. 2. 노이즈 캔슬링 가장 불만족스러운 부분이다. 에어팟에 비하면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거의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이어폰에 터치 패드 부분을 2초 이상 길게 누르면 “주변소리 허용 - 노이즈 캔슬링 - 일반” 순서대로 설정.. 2022. 8. 26. 한국은행 기준 금리 0.25% 인상, 어디까지 올릴까?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0.25% p 인상했다. 기준금리 인상이야 당연했고 어느 정도 올리느냐의 문제였다. 0.25% p를 인상함에 따라 한국의 기준금리는 이제 2.5%로 미국의 기준금리와 동일해졌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올리고 있는데 보통 한국의 기준금리가 미국의 기준금리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동일한 수준도 충분치 않다. 4번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올렸다고 떠들썩 하지만 다음 달 미국이 기준금리를 다시 인상하면 또다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는 역전된다. 또다시 미국과 기준금리가 역전된다면 안 그래도 절하 압력을 받고 있는 달러원 환율이 다시 오를 확률이 크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 상승 압력 또한 높아진다. 물가나 환율 방어 차원에서는 미국처럼 빅 스텝이 필요할 테지만 경기침체를 .. 2022. 8. 25. 쿠크다스 폴바셋 후기 인터넷 서핑을 하다 쿠크다스와 폴 바셋을 콜라보한 제품이 출시되었다는 것을 우연히 보았다. 그냥 스쳐 지나갔는데 쓱~ 장을 보다가 눈에 띄어서 한번 구매해보았다. 이유는… 내가 폴 바셋의 아이스크림 라테를 좋아하기 때문! 그렇기는 해도 별다른 기대는 하지 않았다. 과자에서 아이스크림 라테의 맛이 날 리는 없으니까. 포장은 시크한 느낌의 블랙이다. 과연 맛은 어떨까? 역시. 과자에서 무슨 큰 기대를 한 걸까. 바디감과 산미가 느껴지는 폴 바셋의 원두를 넣었다고는 하나 고작 0.3%. 그걸로 드라마틱한 변화를 알아챌 만큼 내 미각은 예민하지 않다. 나의 첫 느낌은 그냥 쿠크다스 커피 맛. ㅎㅎ 원래도 쿠크다스는 좋아하기에 기분 좋게 먹지만 폴 바셋과 콜라보한다 해서 맛이 특별히 달라지진 않았더라. 2022. 8. 24. 미래에셋 중국주식 매수 거부 오래간만에 중국 주식 추가 매수를 하려고 하는데 주문이 계속 거부된다. 자동 환전되어서 매수했던 종목인데 혹시나 환전이 문제인가 싶어 위안화로 환전 후 매수해보았지만 여전히 안 된다. 앱에서 거부사유로는 Completed:E라고 뜨며 아무리 살펴봐도 이유를 모르겠기에 기타 문의사항을 연락해달라는 “해외주식운영팀(02-3774-6700)”으로 전화해봤다. 참으로 답답한 문답이 이어졌는데 결론은 일부 고객들이 BCAN이라는 것이 등록이 되지 않아 중국 주식 온라인 주문이 거부되고 있다는 것. 전에는 이상 없이 거래했고 현재도 보유하고 있는데 왜 안 되냐고 하니 안 된다는 말만 반복한다. 그러면 주문이 아예 불가능하냐고 물어보니 온라인은 불가능하고 전화 주문만 가능하다고 한다. 그럼 수수료는 어떻게 되냐고 물.. 2022. 8. 24. 피델리티 비즈니스 사이클 (22년 7월) 22년 1월 피델리티 비즈니스 사이클에서는 중국을 제외한 주요국들은 MID 사이클의 확장 국면을 지나고 있었다. 피델리티 비즈니스 사이클 현재위치(22년 1월) 피델리티 비즈니스 사이클이 업데이트되었다. 연준의 긴축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MID 사이클 국면은 지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동안 내가 봐 왔던 자료들과 비교해보고, 사이클의 현재 위치를 lavie.tistory.com 이미 작년 중반부터 시클리컬 주식은 대부분 정리하고 이 때는 석유 주식만 들고 있었다. 이때만 해도 경기침체(리세션)에 대한 이야기는 언론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었다. 현재는 리세션의 가능성이 있냐 없느냐로 의견이 분분하다. 경기침체 인지의 후행성 현재는 경기침체, 즉 리세션일까, 아닐까? 먼저 내 생각을 말해보자면 나라마다 다르.. 2022. 8. 24. 원달러 환율 1340원 돌파 지난 금요일 밤 달러원 환율이 1336원으로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 1336원! 달러 고점은 어디일까? 어제 장중 환율 상승에 이어 밤새 환율이 1330원을 돌파해 연 최고점 1337원을 찍고 살짝 내려와 1336원으로 마감되었다. 와리가리 왔다 갔다 해도 결국 그저 갈 길을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언제 lavie.tistory.com 오늘 나의 예상은, 1. 1337원 언저리에서 시작해서 약간 하락 2. 코스피 갭하락 시작 후 반등 이 2가지였는데 보기 좋게 빗나갔다. 환율은 1340원을 돌파해 장 마감 직후인 지금 1342원을 찍고 있으며, 장중 코스피는 약간 반등하려다가 다시 하락하여 마감했다. 아무래도 오늘 중국 금리 인하에 영향을 많이 받은 듯한데, 사실 하루하루 등락에 대한 이유는 의미 없.. 2022. 8. 22. 또다시 중국 기준금리 인하 역시 중국 경제가 말이 아닌가 보다. 중국 두달 연속 LPR 인하 앞서 12월에 중국 LPR인하에 대한 포스팅을 했다. 포스팅 이유는 지속적인 추적을 위해. 계획대로 1월도 추적해본다. 중국의 LPR 인하와 생각해볼 점 (경기 향방/환율) 12월 20일, 중국의 대출금리, lavie.tistory.com 지난주 MLF 금리도 낮추더니 LPR 1년, 5년 금리도 오늘 또 낮추었다. 문제는 이렇게 부양 의지를 보여도 부양이 되지 않고 있다는 데에 있겠다. 더불어 한국 수출 자료를 살펴보니 대중국 수출도 제법 떨어졌다. 정확한 중국 내 상황을 파악할 순 없지만 분명 현재 중국 경제가 안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덕분에 원화, 위안화 모두 약세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 최근 중국의 부양 의지가 있다며 구리 가격.. 2022. 8. 22. 8월 한국 수출입통계(1~20일) : 마이너스가 코 앞 전 세계 투자자들이 중요하게 보는 지표, 한국 수출입 통계. 내가 사이클을 추적할 때 중요하게 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지표 중 하나이기도 하다. 작년에 하락 추세를 기록한 이후 오랜만에 기록한다. 작년에 비해 확연히 줄어든 모습이 보인다. 특히 내가 중요하게 보는 일평균 수출은 0.5% 증가를 보이며 마이너스를 눈앞에 두고 있다. 작년 8월에 31.5%였던 것을 보면 참… 뭐랄까. 사이클은 제 갈 길을 잘 가고 있다. 2022. 8. 22.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5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