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93

7월 한국 수출입 통계(1~20일) : 전월보다 증가, 하지만 하향 추세는 그대로 7월 1~20일 수출입 통계가 발표되었다. 한국 수출입 통계는 비교적 정확하고 빠르게 발표되기 때문에 세계 경제의 바로미터로 쓰인다. 특히 20일까지의 통계 자료를 보는 이유는 말일까지의 통계자료가 발표되는 1일에는 PMI가 발표되기 때문에 PMI를 보면 되기 때문이다. 조금이라도 빨리 남보다 정보를 얻기 원하는 투자자에게 PMI가 발표되기 전 20일까지의 한국 수출입 통계는 아주 유용한 자료가 된다. 전월에 전년 동월비 수치가 너무 급격히 감소(53.2→29.5)해서 조금 걱정스러운 면이 있었는데, 이번 달에 조금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내가 중요하게 보는 일평균 수출액은 여전히 하락 추세를 지속하며 전월 33.7% 보다 약간 감소한 32.8%의 숫자를 보여주고 있다. 추가로 눈에 띤.. 2021. 7. 21.
FRED 차트 데이터끼리 연산하는 방법 어디선가 많이 봤던 차트 모습인데, 어떻게 봐야 하는지 모르겠는 차트가 바로 FRED에 있는 차트이죠. : ) FRED는 세인트 루이스 연준의 데이터 창고라고 할 수 있는데요,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데이터들이 있어 투자자들이 활용하기 매우 좋습니다. 데이터끼리 연산해서 차트로 표현하는 방법을 안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세인트 루이스 연준 바로가기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 FRED | St. Louis Fed Welcome to FRED, your trusted source for economic data since 1991. Download, graph, and track 815,000 US and international time series from 107 sourc.. 2021. 7. 20.
FRED 차트로 여러가지 데이터 비교해서 보는 방법 세인트 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의 데이터 보물 창고에서 여러 가지 데이터를 비교해보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세인트 루이스 연준 데이터 창고 바로 가기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 FRED | St. Louis Fed Welcome to FRED, your trusted source for economic data since 1991. Download, graph, and track 815,000 US and international time series from 107 sources. Welcome to FRED, your trusted source for economic data since 1991. Download, graph, and track 815,000 U fred.. 2021. 7. 19.
신용 잔고 오실레이터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포트폴리오 비중 조절에 적용해보자 신용 거래란? 신용 거래란,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려서 투자하는 거래를 뜻한다. 미수 거래와 비슷하지만, 일정 기간 동안 이자를 지급하고 빌려서 투자한다는 점이 다르다. 신용 거래는 레버리지를 일으켜 자신이 가진 자본금보다 큰 규모로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기간이 정해져 있기에 그동안 일정 하락폭 이상 하락하게 되면 반대매매로 주식을 매도해 빌린 돈을 갚게 되는 점에서 투자할 때 주의해야 한다. 시장 전체가 급락하여 이런 반대매매가 많이 나오게 되면 투자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시장에 투매가 나오므로, 과도한 하락을 발생시키기도 하며 이때 신용으로 투자한 투자자는 영구적인 손실을 입게 되며, 이는 다른 투자자에게 기회가 되기도 한다. 신용 잔고 오실레이터란? 이러한 신용 거래가 얼마나 되고 .. 2021. 7. 18.
[베이지북] 21년 7월 연준 베이지북 요약 : 경기 확장, 전반적인 물가 상승 베이지북(Beige Book)이란, 1년에 8번 발행하는 12개 연준 지역의 경제 상황에 대한 보고서이다. FOMC 2주 전에 공개되며, 7월 14일 발표된 베이지북은 여기서 볼 수 있다. 전반적인 경제 상황 1. 이전보다 더 강력한 성장을 보였고, 교통, 여행 및 관광, 제조업, 비금융 서비스에서 평균 이상의 성장을 보고하였다. 2. 에너지 시장은 약간 개선되었고, 농업 부문은 엇갈린 양상을 보여준다. 3. 공급 측면의 혼란은 더욱 확산되었다(자재 및 노동력 부족, 배송 지연, 소비재 재고 부족 등). 4. 자동차 수요는 꾸준히 늘어났지만, 적은 재고로 인해 판매량은 다소 줄었다. 5. 주택 판매는 공급량 제한에도 불구하고 소폭 증가했다. 비용 상승에 의한 주택 건설의 어려움은 여러 구역에서 완화되었고.. 2021. 7. 15.
경기 침체기에 투자할 만한 미국 채권 ETF 정리 현재는 주식과 현금으로 자산배분을 하고 있지만 향후 몇 개월 이내 상당 부분 채권 ETF의 비중을 키울 예정이다. 미리 미국 채권 ETF 종류를 정리해보자. 한국 국채가 아닌 미국 채권 ETF를 정리하는 이유는, 환노출의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내가 채권을 투자하려는 것은 경기 하방기에 대한 대안으로 투자하는 것이고, 그럴 때는 보통 달러가 강세로 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원화 자산뿐만 아니라 달러 자산을 평소보다 늘려서 가지고 있기 위함이다. 참고로 채권을 사기 위한 달러 환전은 한 번에 하기보다 주식 시장이 상승할 때마다 분할로 해두면 좋다. 채권의 투자수익 = 이자수익 + 자본손익 채권투자수익은 이자수익과 자본손익으로 나눌 수 있다. 이자 수익은 채권의 가격과 관계없이 지급되는 쿠폰에 따른 이자 지.. 2021. 7. 15.
S&P500, 다우, 나스닥 지수 ETF 종류(1x, 2x, 3x) 정리 구루들은 하루에 적어도 2시간 이상 투자 공부를 할 수 없다면 지수 ETF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이라 한 바 있다. 워런 버핏도 자신의 사후에 남길 재산을 지수 ETF에 투자하라고 한 바 있다. 원론대로라면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1배 ETF에 적립식으로 노동소득을 자본소득으로 꾸준히 바꿔가야겠지만, 지수에 투자하더라도 다양한 방법으로 투자 가능한 ETF들이 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 다우지수의 30 종목은 규모가 큰 우량 기업들로만 구성되어 있고, 코스피나 S&P500처럼 시가총액으로 계산되는 지수가 아니기에 전체적인 시장 흐름을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배수 이 름 티커 정방향 1x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ETF Trust DIA 2x Pr.. 2021. 7. 13.
미국 주식의 업종 구분과 대표 종목, 투자 시 유의점 11가지 업종 구분 업종 구분 대표 ETF 대표 종목(티커) Communication Service 통신 서비스 XLC 페이스북(FB), 알파벳(GOOGL, GOOG), 버라이즌(VZ), AT&T(T), 넷플릭스(NTLX), 컴캐스트(CMCSA) Consumer Discretionary 임의 소비재 XLY 아마존(AMZN), 테슬라(TSLA), 홈디포(HD), 나이키(NKE), 맥도널드(MCD), 스타벅스(SBUX) Consumer Staple 필수 소비재 XLP 프록터앤갬블(PG), 코카콜라(KO), 펩시(PEP), 월마트(WMT), 코스트코(COST), 필립모리스(PM), 알트리아(MO) Energy 에너지 XLE 엑슨모빌(XOM), 쉐브론(CVX) Financial 금융 XLF 버크셔(BRK.B),.. 2021. 7.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