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아카데미/개념정리

환율상승이 금융주 주주환원과 대출에 미치는 영향

by 세상읽는토끼 2024. 12. 14.
반응형

최근 환율이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환율은 전방위적으로 우리 실생활에 영향을 준다. 그런데 최근 높은 환율 때문에 금융주의 배당에도 제약이 걸릴 수 있고, 각종 대출도 힘들어질 수 있다고 한다. 왜일까?

CET1(Common Equity Tier1)이란


CET1은 보통주자본비율이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 중의 하나로 위기 시 금융기관의 손실 흡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보통주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누어 구한다. 국내 금융기관은 이 CET1이 13% 이상이어야 배당이나 자사주소각 같은 주주환원 정책을 확대할 수 있다. 이익이 비슷하더라도 CET1이 얼마냐에 따라 주가의 차이도 있을 수 있는 만큼 금융주 투자할 때 CET1은 알아두어야 할 지표 중 하나이다.

환율이 주주환원과 대출에 미치는 영향


그런데 원달러 환율이 올라 원화의 가치가 떨어지면 이 CET1에 변화가 생긴다. 환율이 오르면 외화부채 평가액이 상승하므로 CET1의 분모에 해당하는 위험가중자산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CET1이 하락하게 된다. 업계에서는 환율이 10원 오를 때마다 CET1이 0.02% 포인트 하락한다고 본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KB금융 13.85%, 신한지주 13.13%, 하나금융 13.17%, 우리금융 11.96%, NH농협금융 13.11%로 대부분 13%대를 넘었다. 하지만 3분기 말보다 현재 환율이 100원 정도 더 높으니 CET1은 대략 0.2% 포인트 하락 가능하다. 하락해서 13% 이하로 내려가면 주주환원에 제약이 걸리는 것이다.

금융기관들은 리스크관리와 주주환원을 위해 CET1 관리에 힘쓰고 있다지만 이게 쉬운 일은 아니기에 대출까지 이어진다. 대출을 줄이면 분모인 위험가중자산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기관들이 밸류업의 일환으로 주주환원에 더 방점을 두고 CET1을 조절한다면 정부에서 대출규제를 하지 않아도 금융기관 자체적으로 대출을 줄일 것이다. 즉, 환율이 계속 높은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은행들이 아파트전세대출, 부동산담보대출, 사업자금대출 등 우리 생활에 닿아있는 각종 대출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환율의 움직임도 유동적이라 향후 어떻게 될 것이라 확신하지 못한다. 하지만 환율의 움직임이 금융주의 주주환원과 나아가 우리의 대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흐름을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 관련 내용을 정리해 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