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아카데미127 제조업 사이클이 저점을 돌고 있다 21년에 고점을 찍었던 제조업 경기 사이클 시계가 드디어 저점을 찍을 기미를 보이고 있다. 22년, 23년 바닥을 찍을 듯 말 듯 헷갈리게 했던 각종 지표들이 2-3월 즈음 정말 바닥을 찍고 돌 것 같은 모습이다. 특히 중국의 M1, M2가 돌아서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중국의 모기지 금리도 인상되고 있다. 추가로 중국의 부양책이 더 나와준다면 정말 좋겠다. 중국에 대한 안 좋은 이야기 밖에 없지만 중국도 사이클 바닥을 지나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뭐, 물론 한국 주식에 대해서도 안 좋은 이야기 밖에 없다. 트럼프의 집권 때문에 더더욱 안 좋은 이야기가 많지만, 이전 트럼프 집권 때와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 의외로 그리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도 든다. 주식 시장은 그보다 빨리 반영할 수도, 동행할 수도.. 2024. 12. 23. 환율상승이 금융주 주주환원과 대출에 미치는 영향 최근 환율이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환율은 전방위적으로 우리 실생활에 영향을 준다. 그런데 최근 높은 환율 때문에 금융주의 배당에도 제약이 걸릴 수 있고, 각종 대출도 힘들어질 수 있다고 한다. 왜일까? CET1(Common Equity Tier1)이란CET1은 보통주자본비율이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 중의 하나로 위기 시 금융기관의 손실 흡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보통주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누어 구한다. 국내 금융기관은 이 CET1이 13% 이상이어야 배당이나 자사주소각 같은 주주환원 정책을 확대할 수 있다. 이익이 비슷하더라도 CET1이 얼마냐에 따라 주가의 차이도 있을 수 있는 만큼 금융주 투자할 때 CET1은 알아두어야 할 지표 중 하나이다. 환율이 주주환원과 대출에.. 2024. 12. 14. 금값과 실질금리 추이 금값과 실질금리는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아래 그림처럼 같이 움직이고 있다. 실질금리가 높은 상황에서 금값도 높은 상황이다. 새로운 문법을 쓰는 것일 수도 있지만 실질금리가 낮아지거나 금값이 낮아지면서 다시 예전의 추세를 회복할 수도 있다. 어느 쪽이 더 가능성이 높을지 아직 잘 모르겠기에 베팅하기는 어렵지만, 신규로 금을 매입하는 경우라면 리스크를 생각하고 경계해야 할 자료가 아닌가 한다. 금 투자 방법과 특징 및 주의할 점연일 높은 물가상승률을 보이고 있는 경제 상황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금 투자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 같다. 금 투자 방법을 알아보고, 금 투자의 특lavie.tistory.com 2024. 12. 5. 마지막 비관론자도 돌아섰다는 기사 월가 대표 비관론자인 마이크 윌슨 모건스탠리 CIO가 내년 연말까지 강세장을 전망했다고 한다. 이런 기사들이 나오면 ‘내년도 상승이구나!’ 할 것이 아니라 경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 비관론자마저 돌아서서 강세장을 주장한다면 그만큼 살 사람은 다 샀다는 의미 아니겠는가. 금리 인하 기대감과 미국 경기 회복을 근거로 한 전망인데, 이건 최상의 시나리오일 경우이다. 기사 제목만 볼 것이 아니라 마지막에 덧붙인 대로 만약 인플레이션이 반등하고 달러 가치와 국채금리가 상승하는 상황이면 이런 상승 전망은 하락 전망으로 바뀌게 된다. 미국 주식이 고평가 된 상황에서, 석유 수요는 느는데 공급은 제한된 상황에서 석유 가격은 낮은 상태인 데다, 트럼프의 정책들은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만한 게 많다. 그렇다면 미국 주식이.. 2024. 11. 20. 대출규제가 자동차 할부 결제로 불똥이 튄다는데 늘어난 가계부채 관리 대책이 오락가락하는 와중에 이번에는 대출규제가 자동차 할부 결제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 "자동차할부 DSR 잡혀" 캐피탈도 대출규제 불똥…현대카드 웃는다 - 머니투데이대출 규제가 심화하면서 자동차 구매 시장에서 카드사와 캐피탈사의 희비가 교차할 전망이다. 자동차를 구입할 때 카드로 할부 결제하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 잡히지 않지만 캐피탈을 news.mt.co.kr 가계가 지출하는 소비규모 중 1,2위는 부동산과 자동차인데 이 중 자동차의 소비를 손댄다는 것이다. 통상 자동차를 구입할 때는 현금으로 구입하거나 캐피털, 은행에서 대출을 일으키거나, 카드 할부를 이용하게 된다. 이중 해당 소식은 카드 할부에 대출규제를 들이댄다는 것이다. 관련 내용을 자세히 .. 2024. 11. 13. 조선 선박용 페인트 투자할 때 알아야 할 것(노루홀딩스, 조광페인트, 삼화페인트) 나는 성장주보다 과점화 되어 있는 산업 섹터에 사이클에 따라 투자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중 선박용 페인트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 본다. 선박용 페인트의 기능과 해자페인트는 보통 녹 방지와 디자인용으로 많이 쓰인다. 하지만 선박용은 다르다. 방오(오염방지) : 선박은 항해하는 동안 선체의 하부가 바닷물에 잠겨 있다. 이때 따개비 같은 해양생물이 들러붙으면 무게가 무거워지고, 연비가 저하된다. 이 따개비를 떼내면서 페인트가 벗겨지면 선체에 녹이 슬게 된다. 방오 기능이 있으면 해양생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붙더라도 쉽게 떨어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방오 기능이 필수인데 이는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고, 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글로벌 AS망이 필요하다. 방청(녹방지) : 바닷물은 염분이 있고, 항해하는 .. 2024. 11. 12. 레드 스윕(Red sweep) 뜻과 섹터별 영향 레드 스윕(red sweep)이란, 미국 선거에서 공화당이 대통령과 의회 양원(상하원)을 모두 장악하는 상황을 뜻한다. 대통령만 공화당이 되었을 경우와 당연히 차이가 있으며, 이는 금융 시장에 여러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레드 스윕이 발생할 경우 통상적으로 금융 시장은 친기업적, 규제 완화, 감세 등의 정책을 예상하며 초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국채 금리 상승과 강달러 경향으로 섹터별로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24년 미국 선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이 유력하고 레드 스윕이 발생함에 따라 각 섹터별 영향을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방위비 지출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고 현재 각 전쟁이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으므로 앞으로도 방위산업체들은 긍정적일 수 있다. 탄소 .. 2024. 11. 6. 첫 번째 금리인하 후 10년물 국채금리 보통 금리인하는 경기침체를 앞두고 혹은 경기침체 중에 중앙은행이 시행하게 된다. 그렇기에 기준금리 인하를 기점으로, 혹은 그즈음해서 국채시장의 금리들은 내려가고, 국채가격은 상승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의 흐름은 조금 다르다. 첫 번째 금리인하 후에도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미국 선거의 영향일 수도 있고, 생각보다 미국 경제가 좋아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이 잘못된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여러 경기지표들은 안 좋게 나오고 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70년대의 상황이 다시 벌어질 수 있다고도 생각한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떠오르는 요즘이다.정말로 70년대가 재림하는 것이라면… 무섭지만 이런 가능성에 대비도 해야 할 것이다. 현재 미국 선거의 영향인지 석유가격이 좀처럼 오르지 못하고 있는데도 국채금리가 저렇.. 2024. 11. 4. 이전 1 2 3 4 5 ···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