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아카데미124

장단기 금리차 역전 해소되면 일어나는 일 현재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되어 있다. 이것은 굉장히 비정상적인 상황이라 할 수 있고, 이는 은행의 예대마진을 악화시켜 결국 대출이 잘 나가지 않게 된다. 현재는 장단기 금리차 역전의 폭이 역대급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확대되어 있고, 대부분 채권들의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어 있다. 🔻장단기 금리차 역전의 의미 그렇다면 장단기 금리차는 언제 해소되어서 정상이 될까? 장단기 금리차가 해소되어 정상으로 돌아오면 자산시장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 장단기 금리가 해소되는 시기 보통 장단기 금리차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함으로써 해소되게 된다. 채권시장에서 향후 경기 전망을 좋지 않게 보고 장기 금리가 내려가고 있는 중이지만, 장기금리가 내려오는 폭보다 기준금리가 더 큰 폭으로 내려가면 기준금리를 따라가는 단기 금.. 2023. 1. 13.
22년 12월 기사들 끝나지 않을 것만 같던 호황이 끝났다. 2022. 12. 30.
KBS 다큐인사이트 영앤리치 영앤리치. 자산시장의 붐을 잘 보여주는 단어가 아닐까 한다. “사이클”은 내가 자산시장을 바라보는 뷰를 잘 설명해주는 단어이다. 사이클의 관점에서 이 영앤리치를 생각해본다. 사이클이라는 것은 단기와 장기가 있고 장기 사이클인 경우 한 사람의 인생에서 겪어볼 기회가 많지 않다. 닷컴 버블 시대의 이야기를 글로 보고 기사로 접했지만 그때의 사회 분위기가 어땠었는지 체감하기는 불가능했다. 반복되는 사이클 한가운데서 하지만 이번에 코로나19로 인해 역대급 부양책을 보고 그로 인한 자산시장의 붐, 그리고 현실 경제의 변화를 직접 겪어보니 조금은 알겠다. 자산시장이 어떻게 자기 강화적인 성격을 갖게 되는지, 성공 신화가 어떻게 주변인과 더불어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등 책에서만 보던 것들을 직접 겪어보니.. 2022. 11. 22.

KBS 시사직격 인생을 베팅하다 - 2030 투자중독 실태 보고 2018년이었을까, 2019년이었을까. FAANG에 대한 버블 논란이 일었다. 그 이전부터였던 것 같기도 하다. 비트코인도 빠질 수 없다. 그러다 2020년 코로나로 인해 온 세상이 멈추게 되었고, 각국의 중앙은행 특히 미국의 연준을 유동성을 말 그대로 때려부었다. 덕분에 논란은 온데간데 없이 채권시장은 물론이요, 그동안 본 적 없던 모든 자산이 상승하는 ‘everything is bubble’인 시대에 접어들었다. 그동안 사람들은 투자에 열광했고 투자며 재테크 콘텐츠를 다루는 사람들은 사업으로 성공가도를 달렸다. 버핏이 그랬던가, 물이 빠져봐야 누가 발가벗고 있는지 알 수 있다고. 때려 부은 유동성과 코로나로 인한 공급망 때문에 그동안 안 보이던 인플레이션이 머리를 들기 시작했고 그에 맞춰 중앙은행은 .. 2022. 9. 13.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 인터뷰로 생각해보는 한국 기준금리 각국의 중앙은행 총리, 금융 전문가 등이 참가하고 있는 잭슨홀 회의에서 지난주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미국 시장은 급락해서 마감했다. 잭슨홀 회의 파월 연설로 나스닥 급락 잭슨홀 회의란, 매년 8월에 캔자스시티 연방은행이 주최하는 회의로 휴양지 잭슨홀에서 열린다. 각국의 중앙은행 총재, 경제학자 등 전문가들이 참가해서 이들의 발언이 시장에 영향을 주기 때 lavie.tistory.com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인터뷰를 했는데 몇 가지 발언 정리로 향후 한국은행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인터뷰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은 우리 예상과 일치한다. 물가 상승률이 고점을 찍었는지 확실하지 않고 고점을 찍고 반환점을 돌았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기 전까지 최우선 과제는 인플레이션을 잡는 것이다.. 2022. 8. 29.
잭슨홀 회의 파월 연설로 나스닥 급락 잭슨홀 회의란, 매년 8월에 캔자스시티 연방은행이 주최하는 회의로 휴양지 잭슨홀에서 열린다. 각국의 중앙은행 총재, 경제학자 등 전문가들이 참가해서 이들의 발언이 시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목을 받곤 한다. 올해도 어김없이 잭슨홀 회의가 열렸는데 아무래도 긴축 관련 발언을 해서 시장에 변동성을 주지 않을까 했는데 역시나였다. 최근 미국 연준 파월 의장의 발언에 힘입어 시장은, 물가가 고점을 찍었으니 이제 금리 올리는 것도 거의 다 왔지 않겠느냐는 근거를 들어 반등장이 이어졌었다. 물가가 고점을 찍었다는 얘기는 곧, 경기침체가 이미 와 있다는 것인데 그 이유를 들어 시장에 반등이 나오는 것을 보니 시장은 반등할 거리가 필요했던 거라고 느꼈다. 무슨 이유든 필요했던 것이다. 아무튼 이런 반등장이 이어진 가.. 2022. 8. 27.

또다시 중국 기준금리 인하 역시 중국 경제가 말이 아닌가 보다. 중국 두달 연속 LPR 인하 앞서 12월에 중국 LPR인하에 대한 포스팅을 했다. 포스팅 이유는 지속적인 추적을 위해. 계획대로 1월도 추적해본다. 중국의 LPR 인하와 생각해볼 점 (경기 향방/환율) 12월 20일, 중국의 대출금리, lavie.tistory.com 지난주 MLF 금리도 낮추더니 LPR 1년, 5년 금리도 오늘 또 낮추었다. 문제는 이렇게 부양 의지를 보여도 부양이 되지 않고 있다는 데에 있겠다. 더불어 한국 수출 자료를 살펴보니 대중국 수출도 제법 떨어졌다. 정확한 중국 내 상황을 파악할 순 없지만 분명 현재 중국 경제가 안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덕분에 원화, 위안화 모두 약세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 최근 중국의 부양 의지가 있다며 구리 가격.. 2022. 8. 22.
독일 라인강 수위를 보는 이유 라인강은 중부 유럽의 제일 큰 강으로 알프스에서 발원해 스위스,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를 지난다. 독일 내륙을 관통하는 이 강은 서유럽 내륙 운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 대항해시대라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육지로 운송하는 것보다 해상으로 운송하는 것은 큰 이점을 지닌다. 훨씬 더 많은 양을 한 번에 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모두 줄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라인강을 이용해 원자재를 조달하거나 완제품을 운송한다. 유럽 나프타 분해시설(NCC)의 1/3이 라인강을 이용해 운송한다고 한다. 자연스레 손에 꼽는 글로벌 화학업체들도 이 라인강을 중심으로 많이 모여있다. 이런 라인강의 수위가 최근 낮아져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독일연방수문학연구소에 따르면 이 라인강이 수운으로.. 2022. 8.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