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아카데미124 S&P500, 다우, 나스닥 지수 ETF 종류(1x, 2x, 3x) 정리 구루들은 하루에 적어도 2시간 이상 투자 공부를 할 수 없다면 지수 ETF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이라 한 바 있다. 워런 버핏도 자신의 사후에 남길 재산을 지수 ETF에 투자하라고 한 바 있다. 원론대로라면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1배 ETF에 적립식으로 노동소득을 자본소득으로 꾸준히 바꿔가야겠지만, 지수에 투자하더라도 다양한 방법으로 투자 가능한 ETF들이 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 다우지수의 30 종목은 규모가 큰 우량 기업들로만 구성되어 있고, 코스피나 S&P500처럼 시가총액으로 계산되는 지수가 아니기에 전체적인 시장 흐름을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배수 이 름 티커 정방향 1x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ETF Trust DIA 2x Pr.. 2021. 7. 13. 미국 주식의 업종 구분과 대표 종목, 투자 시 유의점 11가지 업종 구분 업종 구분 대표 ETF 대표 종목(티커) Communication Service 통신 서비스 XLC 페이스북(FB), 알파벳(GOOGL, GOOG), 버라이즌(VZ), AT&T(T), 넷플릭스(NTLX), 컴캐스트(CMCSA) Consumer Discretionary 임의 소비재 XLY 아마존(AMZN), 테슬라(TSLA), 홈디포(HD), 나이키(NKE), 맥도널드(MCD), 스타벅스(SBUX) Consumer Staple 필수 소비재 XLP 프록터앤갬블(PG), 코카콜라(KO), 펩시(PEP), 월마트(WMT), 코스트코(COST), 필립모리스(PM), 알트리아(MO) Energy 에너지 XLE 엑슨모빌(XOM), 쉐브론(CVX) Financial 금융 XLF 버크셔(BRK.B),.. 2021. 7. 11. 버블에 관한 생각, 그리고 나의 현재 포트폴리오 비중 요즘 레이 달리오의 『금융 위기 템플릿』을 리디셀렉트로 다시 듣고 있다. 여담이지만, 중요한 책들을 반복해서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데, 이럴 때도 리디셀렉트는 도움이 된다. ▶ 어려운 경제, 역사책 끝까지 읽는 방법 오늘 출근길에 들은 내용이 앞서 번스타인의 자료를 보고 정리해놓은 버블의 특징 5가지와 연결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 관련 내용을 기록해놓으려 한다. ▶ 버블의 특징 5가지 금융 위기 템플릿 통화 정책의 역할 통화 정책은 버블을 억제하기보다는 오히려 키우는 경우가 많다.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률, 투자 수익률이 양호한 상황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보통 생산성 호황으로 해석되는 이러한 시기에는 낙관적 투자 심리가 강화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레버리지 비율을 높여 투자 자산을 사들인다. 이때 중.. 2021. 7. 9. 버블의 특징 5가지 2020년 코로나로 인한 급락이 있기 전에 거시경제를 다루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경고가 존재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코로나가 닥칠지는 몰랐지만, 경기는 그전부터 꺾였었고 한창 경기 바닥을 향해 가는 중이었기 때문에 어떤 충격이 왔을 때 버티기 힘든, 충격에 아주 취약한 그런 시점이었다. 미국 주식시장이 계속 상승했기 때문에 버블 논란이 있었고, 팡(FAANG)을 필두로 미국 주식시장은 계속 오르는 것처럼 보였다. 코로나로 인한 충격으로 자산시장이 급격히 붕괴한 후 연준은 2008년 금융위기의 경험으로 탄탄히 세워놓은 계획대로 사태를 수습해나갔고, 덕분에 더블딥의 우려를 뒤로 하고 자산시장은 반등에 성공했다. 이후 10년에 한 번 오는 그 위기가 끝났다고들 했다. 미신처럼 말해지는 10년 위기설이지만, 이는 .. 2021. 7. 7. 손해보험업 조사내역 정리 내 포트폴리오에서 보험 섹터에는 삼성화재우, 코리안리가 있다. 보험업종도 금리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시클리컬로 분류되기도 한다. 시클리컬들을 포트에 담을 때 같이 담았는데, 나머지 시클리컬들은 작은 사이클에 맞춰 대부분 정리하고 보험업은 보유하다가 다시 가격이 하락한다면 늘어난 시드에 비례해서 비중을 맞춰서 2-3년 들고 가볼까 하는 계획이다. 여차하면 내 평단가 대비 배당수익률이 6% 남짓이라 더 장기간으로 들고 가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 삼성화재우 투자이유, 계획 유튜브 영상을 보다가 보험업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 영상의 이야기와 추가로 그동안 알게 된 몇 가지를 같이 정리해두기로 한다. 망할 수 없는 보험사, 그리고 손해보험 점유율 점유율 상위 손해보험사, 생명보험사는 망할 수가 없다. .. 2021. 7. 2. 주식은 초록불일 때 하고, 빨간불일 때는 하지 말자 (조익재) 우리가 걸어갈 때 신호등을 보면서 가지 않는가? 초록불 켜졌을 때 건너가고, 빨간불 커졌을 때 안 가면 되는 것이다. 주식도 마찬가지다. 초록불 켜졌을 때 하고, 빨간불 켜졌을 때 안 하면 돈 많이 번다. 빨간불 켜져도 계속하니까 문제인 것이다. - 리스크 온/오프 두 가지만 결정하자. 인지 편향이 있어서 자신과 같은 생각을 가진 의견을 보면 더 쉽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고 하던데, 나도 역시 벗어나진 못한다. 삼프로TV에서 최근 영상을 보고, 나와 거의 비슷한 관점을 가진 분의 의견을 보니 반갑기도 하고, 뭐 하나라도 더 배울 게 없나 귀 쫑긋 세우고 들었다. 신기하게도 거시경제 말씀하시는 분들은 한 군데서 배워온 것처럼 보는 자료도, 하시는 말씀도 다 비슷하다. ㅋㅋ 몇 가지만 정리해보기로 한다. .. 2021. 6. 29. 상황 변화를 한꺼번에 반영하는 자산 가격 한꺼번에 반영하는 자산 가격 자산 가격은 상황 변화를 순차적으로 반영하지 않고, 한꺼번에 반영시키기에 급격하게 등락하는 습성이 있다. 보통 투자자들은 자신이 생각한 투자 아이디어에 따라 점차적으로 자산 가격 상승/하락에 반영될 것이라 기대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지루한 움직임 끝에 급격한 움직임이 발생하곤 한다. 위 그림의 빨간색 박스처럼 지루한 움직임이 나타나는 시기에는 상황 변화가 시작되어도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고 일부만 이 변화를 인지하거나, 상황 변화를 인지하더라도 이 지루한 움직임에 익숙해져 있어서 변화에 상응하는 결단을 내리기가 어렵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대부분의 시장 참여자들이 상황 변화를 인지하고 행동에 나서게 되면서 자산 가격이 급격하게 변하게 되는 것이다.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모든 .. 2021. 6. 27. 부동산은 언제 사야 할지 고민할 때 보면 좋은 지표들 (홍춘욱) 주택 가격 바닥의 징후는 무엇일까? 진바닥은 아니더라도 저평가라서 사서 크게 손해는 안 볼 시점은? 잘 정리해뒀다가 기회가 올 때 잘 잡아보자! 현재? 서울은 고평가, 전국은 유례없는 저평가 국면에서 회복된 정도에 불과하다. 도움되는 지표 #1. 주택구입부담지수 - 소득 대비 대출 비중을 본다. ▶ 주택금융공사 주택구입부담지수 DSR과 연결돼 있는 지표로, 우리나라 중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 가격의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의 부채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100 정도면 적정 가격(충분히 지불 가능한 정도)이며, 전국 평균이 60이 안 된다. 부채 부담이 적다는 의미이다. 서울은 150이 넘었다. 평균값이 위험 레벨이 된 것이고, 부채를 많이 지고 집을 사고 있다는 의미이다. 현재 서울에 15.. 2021. 6. 23. 이전 1 ··· 5 6 7 8 9 10 11 ··· 16 다음 반응형